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3717

 

13717번: 포켓몬 GO

첫 번째 예제에서 지우가 어떻게 뿔충이(Weedle)를 진화시켰는지 보자. 처음 진화를 위해 지우는 12개의 사탕을 사용하였지만 2개를 돌려받아 32개의 사탕이 남는다  (42-12+2). 두 번째 진화 후엔 22

www.acmicpc.net

문제

 

모바일 게임을 즐겨 하는 지우는 Jetpack Joyride 에 금새 질렸고 포켓몬 GO를 시작했다! 이 게임의 재미있는 점은 포켓몬을 진화시킬 수 있다는 것이다. 지우가 Pi 라는 포켓몬을 진화시키기 위해서는 해당 포켓몬의 Ki 개의 사탕이 필요하다. 진화가 된 후에는 2개의 사탕을 돌려받는다. 각 포켓몬은 그들 종의 사탕으로만 진화할 수 있다. 지우는 N종의 포켓몬이 있고 Pi 라는 포켓몬의 사탕은 Mi 개를 가지고 있으며 지우는 진화시킬 수 있는 포켓몬의 총 마리수를 궁금해한다. 또한, 지우는 가장 많이 진화시킬 수 있는 포켓몬이 무엇인지 알고 싶어한다. 만약 그런 포켓몬들이 여러 종이 있다면 도감번호가 가장 작은 포켓몬을 출력한다. 즉, 입력 데이터에서 더 먼저 나타나는 포켓몬을 출력하면 된다.

 

입력 

첫 번째 줄에는 포켓몬의 종류 수를 나타내는 N (1 ≤ N ≤ 70)이 주어진다.

그 다음 2N 줄에는 N개의 데이터 세트가 입력되는데

  • 2i 번째 줄에는 i번째 포켓몬의 이름을 나타내는 최대길이 20의 Pi 문자열이 주어진다.
  • 2i + 1 번째 줄에는 Ki  (12 ≤ Ki ≤ 400) , Mi (1 ≤ Mi ≤ 104) 가 주어지는데 각각 i 번째 포켓몬이 진화에 필요한 사탕의 수와 지우가 가지고 있는 i 번째 포켓몬의 총 사탕의 수이다.

출력

첫 번째 줄엔 진화시킬 수 있는 포켓몬의 총 마리수를 출력한다.

두 번째 줄엔 가장 많이 진화시킬 수 있는 포켓몬의 이름을 출력한다.

 

풀이

가장 많은 진화를 이뤄낸 포켓몬의 이름과 수를 저장할 리스트를 만들어주었으며, 최댓값이 여러 개가 나올 경우 우선으로 입력된 포켓몬을 출력하기에 인덱스에 -1을 곱해서 저장해주었습니다.

 

코드

# 13717번 포켓몬 GO
n = int(input())
li = []
# 진화된 모든 포켓몬의 수
alltotal = 0
for i in range(n):
	# 포켓몬의 이름
    name = input()
    evol, candy = map(int, input().split())
    # 캔디를 사용할 수 없을 때까지 진화할 동안 입력된 포켓몬의 진화 수를 저장하는 변수
    total = 0
    while evol <= candy:
        upgrade_pocketmon = (candy // evol)
        candy %= evol
        candy += (upgrade_pocketmon) * 2
        total += upgrade_pocketmon
	
    alltotal += total
    # 인덱스에 -1을 곱해서 sort()에서 우선 입력된 포켓몬이 리스트 맨 앞으로 오게 만듬
    li.append([total, -i, name])

li.sort(reverse=True)
print(alltotal)
print(li[0][2])

 

출력결과

개발자 성현